본문 바로가기
주식 금융

한국화장품 주가 삼각수렴이 되는데

by 시원한 하루 2020. 11. 26.
반응형

한국화장품 주가 삼각수렴이 되는데

한국화장품은 기초 및 색조화장품 700여 종류의 화장품판매를 영위하는 종합화장품회사로 산심, 오션, 브떼니크, 딸리아, A3F, 르비앙등의 국내 화장품 대표주자 입니다.

한국화장품 주가는 52주 고가 17,750원으로 52주 저가 7,910원 기준으로 2.2배 상승을 보여준 종목으로 시가총액
2,201억원으로 시총순위 코스피 485위에 있습니다.

 

한국화장품 주가 삼각수렴이 되는데?

차트를 길게보면 아래 차트처럼 삼각수렴형을 만들고 있습니다.

어디로 갈까요? 하방인가요? 상방인가요? 고점은 낮아지고. 저점은 올라가면서 어딘가로 흘러 가겠지만. 이평선도 모이고 있어서 관심을 가지게 합니다.

 

한국화장품 상승 요인으로는 중국 최대 여행기업인 트립닷컴그룹이 한국 관광상품을 판매하는 내용으로 인해서 한한령이 풀린것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을 보이기도 햇습니다

오늘은 한국화장품 주가 전망에 대한 분석을 하며. 이 종목이 내일의 급등주가 되었으면 합니다.

.

한국화장품 주가 차트 기술적 분석

사드로 인한 화장품 주들은 한한령으로 인해서 꾸준한 하락을 통해서 힘든 시간을 보고 있습니다만.

올해는 왕이 부장의 방한과 사징핑의 방한으로 인한 기대감을 가지게 하는 종목이죠.

고가 17,750원을 형성하고 저점과 고점을 횡보하면서 고점은 낮아지고. 고점은 높아지는 삼각수렴형을 만들고 있는 일봉 차트 인데요.  6월 30일에는 한한령건으로 상한가를 가능등 변동성이 숨어 있는 상태지만. 26일 주가는 13,600원 -1.45%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화장품 주가 위치는 삼각수렴의 끝자락에 있으며. 이평선들이 모이고 있는 초입자리 입니다.

 

삼각수렴으 끝에서 하락을 할까? 상승을 할까?

시징핑이 올까? 안올까? 

 

많은 고민을 하게 되지만. 개인인지라 모르겠군요.

 

2002년 주가는 저가 9,710원에서 고가 17,750원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월봉상 박스권의 움직임으로 9월 +2.33인 13,200원 10월 -2.65%인 12,850원, 11월 13,600원 5.8%의 작은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봉상 4월 6일 고가 15,400원 26% 상승. 6얼 29일 고가 15,350원 28% 상승으로 보여준 주봉입니다.

 

결국에는 한국화장품의 화장품 테마들은 실적을 떠나서 시징핑 방문으로 인한 도약의 발판이 중요하죠.

하지만. 코로나 19 확산으로 오늘 500명이 넘는 감염자가 발생이 되면서 쉽지 않은 길로 가고 있습니다.

 

기대는 있으나. 현실이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코로나야.. 제발 가라..

 

한국화장품 내용은 추천이 아니며. 개인적인 글로 재미난 소설로만 보세요.
(아래 차트는 일봉. 주봉. 월봉을 크게 보시면 됩니다)

한국화장품 실적은 2017년 기준으로 1,513억원에서 1,312억원으로 실적이 낮아 지고 있으며. 영업이익률도 5%에서 13%가지 하락을 하면서 영업이익이 -174억원을 기록을 하였습니다.

 

부채비율은 131%. 유보율이 338%를 유지중이며. EPS가 251원에서 -1,072원까지 하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실적으로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3.1% 감소, 영업손실은 18.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을 보였습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에 소재하는 회사 소유분의 토지와 건물을 매각하여 유형자산처분이익 반영되면서 순이익 흑자 전환을 한 것입니다.

.

한국화장품 부채중에서 유동부채중 단기사채는 없으며. 단기차입금 24억원에서 72억원까지 상승을 보였습니다

거래를 뤙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항상 단기부채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기 바랍니다.

 

매출 구성은 화장품판매 99%로 대부분임을 볼수가 있습니다.

화장품시장 산업의 성장성을 분기 보고서 기준으로 보면

경제적 수준의 향상 및 여성의 경제활동증가, 구매패턴의 변화,  소비계층 확대, 필수소비재로서의 역할 증대 등에 따라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유통채널은 소비패턴의 변화로 인해 방문판매, 백화점 등의 고가채널과 브랜드샵의 중저가 채널, H&B스토어, 인터넷, 모바일, 홈쇼핑 등의 전자상거래 채널 등 다양한 채널로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내수비중이 수출비중 보다는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 수출의존도가 매우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몇년간 사드갈등 및 중국 관광객 감소로 화장품 산업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국내 주요 브랜드 기업들의 신시장 진출 노력 및 한류 열풍으로 중국외 국가에 대한 수출도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통채널 다변화 및 전문 위탁생산기업의 활용도가 증가하여 제조시설을 보유하지 않은 중소기업들도 상품기획력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화장품 시장에 진입하여 화장품 산업 전반으로 외형적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한국화장품 수급과 거래원 분석

수급상 특징은 없습니다.  기타법인과 연기금등 조용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개인들은 매도와 매수를 하면서 물량 조절을 하고 있는데요.  외국인들도 원하는 방향이 있는 것은 아닌 듯하네요

거래원은 10.16~11.26일 누적 매수 매도 현황으로

매수 창구는 NH투자증권 34,000주. 한국투자증권 86,000주이며. 

매도 창구는 미래대우 14,000주. 삼성 90,000주 입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