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금융

엔지켐생명과학 주가 쌍바닥인데..

by 시원한 하루 2020. 11. 20.
반응형

엔지켐생명과학 주가 쌍바닥인데..

엔지켐생명과학은 바이오 기업으로 생명과학, 정밀화학 기술, 바이오 벤처 기업, 신약개발, 완제의약품등 연구 개발을 하는 기업입니다.

엔지켐생명과학 주가는 52주 고가 184,900원으로 52주 저가 43,400원 기준으로 4.5배 정도 상승을 하였으며, 시가총액 8,400억원으로 시총순위 코스닥 59위에 있습니다.

 

7월봉에서 고가 163,000원 76.35% 상승을 보여 주었으며. 8월에는 고가 184,900원 29% 고가를 형성을 하였지만 저가 115,800원을 확인하고 종가 139,100원으로 마감을 하면서 큰 변동성을 보여 주었습니다.

9월에는 저가 95,900원 -31%까지 하락을 보여 주면서 고점 형성후 3개월 연속 하락월봉을 만들어 주고 있는 상태입니다

 

엔지켐생명과학 종목은 코로나19 치료제 임상2상등의 이슈로 인해서 상승을 하였으며. 국내에서 만들어 지는 코로나 치료제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엔지켐생명과학 주가 전망으로 최신정보로 정리를 하며. 내일의 급등주가 되길 바랍니다.

.

엔지켐생명과학 주가 차트 기술적 분석

일봉상 2018년 고가 120,000원 라인을 7.27일 상한가인 장대양봉으로 갱신을 하면서 고가 184,900원까지 상승을 보여 주었습니다. 고가 상승후 당일 조가 142,000원 -10.18%를 확인하면서 당일 고가는 하루의 기쁨으로 마무리가 되었으며. 추세적인 하락을 보이면서. 60선, 120선등의 이평선 지지가 약하게 무너졌습니다.

지금은 지지 라인에서 쌍바닥을 만들면서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으로 녹십자 차트가 생각이 나는 지지를 만들고 있으니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봉상 7월 27일 고가 163,300원 67% 상승을 보이면서 시장의 눈길을 받았는데요. 8월 3일 고가 184,900원 29% 고점 형성후에 종가 144,500원으로 마감을 하면서 양봉의 긴꼬리를 만들어 두었죠.  그 이후에는 꾸준하게 하락을 하면서 반등의 실마리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위 종목은 증권방송등에서 추천등이 많이 나간 종목으로 개인들이 상당히 많이 알고 있는 종목으로 물려 있는 분들도 상당히 있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천천히 관망하면서 공부가 필요하며. 코로나 치료제의 역사를 만들어 주길 바랍니다.

 

엔지켐생명과학 실적 기본적 분석으로는 매출은 매년 200억~300억 정도의 매출이 나오고 있으며. 영업이익률이 -52%로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 산업의 특징인 것입니다.

 

올해 매출  6월 전년동기 대비 12.1% 증가, 영업손실은 8.7% 감소, 당기순손실은 13.2% 감소로 전년과 비슷한 상황으로  제품은 생산 수율면에서 오리지널보다 평균 5~10% 이상의 고수율을 보이고 있다고 하네요.

eps는 의미가 없으며. bps는 3,593원에서 2019년 9,036원으로 늘어 났군요.

 

.

엔지켐생명과학 유동부채중에서 단기사채는 없으며. 단기 차입금은 48억원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매출 구성 비중은 원료의약품 제품 95%로 대부분 차지를 하고 있습니다.

 

엔지켐생명과학 이슈는 결국에는 코로나 19 치료제 입니다.

렘데시비르 임상 3상 책임자로 유명한 카메론 로버트 울프 듀크대 교수를 미국 임상 책임자로 영입을 하였으며. 인플루엔자, 사스, 메르스 등 호흡기 바이러스 분야 전문가인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를 과학기술자문위원으로 위촉해서 코로나 치료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NASH 치료제 신약물질 EC-18, 코로나 치료제 임상 2상 FDA 승인

EC-18 코로나 감염세포에서 바이러스 증식 99% 이상 억제효과

미국 대형 CRO인 PRA와 임상 2상 진행 계약 완료

올해 JP모건 H.C에서 NASH 효과 발표. 2021년 학회도 출전 유력

 

EC-18 국내 임상 2상은 산소 치료가 필요없는 경증 코로나19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충북대병원, 인천의료원, 인하대병원, 서울의료원, 가천대길병원 등에서 목표 환자의 약 70% 모집을 완료를 하면서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임상 2상은 저유량 산소 치료를 요하는 초기 중증 코로나19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이달 첫 환자 등록이 이뤄질 전망으로 알려지고 있죠.

 

우리가 원하는 것은 엔지켐의 코로나 치료제 입니다.  국내에서도 세계적인 치료제가 나오길 기대 합니다.

제발.............

 

엔지켐생명과학 수급을 보면 개인들과 기관. 외인들의 방향은 안보이네요.  꾸준하게 매수하는 주체가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  조만간 외인에서 집중적으로 매수해 주길 바랍니니다.

거래원으로 10.12~11.19일 기준으로 확인을 해 보면. 삼성 +18,831주 매수, JP모간 +32,673주 매수. 한국투자에서 +10,785주 매수. 반대로 유진투자증권에서 -5,854주 매도. 하나금융투자 -12,897주 매도등 매도 매수를 꾸준히 진행하는 기관은 보이지 않는 군요.  키움증권은 -20,000주 정도 매도를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